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 나와…예방접종 적극 당부

11월 첫 주 신고 환자 3만 332명, 전국 유행…7~19세 소아·청소년이 87.7%

김은호 | 기사입력 2024/11/13 [16:27]

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 나와…예방접종 적극 당부

11월 첫 주 신고 환자 3만 332명, 전국 유행…7~19세 소아·청소년이 87.7%

김은호 | 입력 : 2024/11/13 [16:27]

올해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첫 사망자가 나왔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백일해 감염 때 중증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1세 미만 영아 보호를 위해 임신부, 동거 가족 및 돌보미 대상 백일해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생한 백일해 첫 사망자는 생후 2개월 미만 영아로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이전이며, 기침, 가래 등 증상으로 지난달 31일 의료기관을 찾아 백일해 양성을 확인해 입원 치료를 받아오다가 증상 악화로 지난 4일 사망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이번 달 첫째 주 기준 3만 332명의 환자(의사환자 포함)가 신고되었으며, 7~19세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 백일해 예방 소식그림(자료=질병관리청)  ©



연령별로는 13~19세 45.7%(1만 3866명), 7~12세 42.0%(1만 2725명)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87.7%(2만 6591명)를 차지하고 있다.

 

0~6세는 전체 환자의 3.3%(1008명)로 8월 이후 증가하는 추세이며, 1세 미만 영아도 지난달 초에는 주당 2~4명의 신고를 보이다가 지난달 말 12명까지 신고됐다.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도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영국은 지난 9월까지 모두 1만 395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5월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6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영아 10명이 사망했다.

 

프랑스에서는 올해 13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고, 35명의 사망자 중 소아 22명(1세 미만 20명), 성인 13명이 보고됐다.

 

미국은 올해 2만 2273명이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4840명) 대비 4.6배 증가했고, 1세 미만 사망은 지난해 2명, 2022년 1명이 보고됐다.

 

질병청은 백일해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어 감염 때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고위험군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선, 생후 첫 접종(2개월) 이전 영아가 백일해에 대한 면역을 갖고 태어날 수 있도록 임신 3기(27~36주) 임신부는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아울러,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는 빠짐없이 2·4·6개월에 적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면역저하자, 중등증 이상 만성폐쇄성 폐질환자 등 고위험군, 영유아의 부모 등 돌보미, 의료종사자 및 산후조리원 근무자 등 성인들도 올해 백일해 유행 상황을 고려해 백신을 접종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백일해가 소아·청소년 연령대를 중심으로 크게 유행하고 있어 적기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11~12세의 6차 접종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우리나라에서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정부는 최근 증가 추세인 0~6세 백일해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동절기 호흡기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전문가 합동으로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운영하여 대응하고,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사항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메인사진
'체크인 한양' 홍덕수(김지은 분)가 설매화(김민정 분)를 검으로 아버지의 복수
이전
1/6
다음
인기기사 목록